1. 실습 내용
- multipass로 VM을 3대 만든다.
- k3s를 실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.
2. multipass 설치와 VM 생성
- 공식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설치하는 방법을 볼 수 있다.
- 아래의 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받아서 설치하자
https://canonical.com/multipass/install
- 예전에 사용했을 때는 gui가 없었는데, 이제는 gui가 제공돼서 쉽게 인스턴스를 만들 수 있다.
- 인스턴스를 만들기 전에 왼쪽 사이드바 아래에 있는 톱니바퀴를 눌러서 설정으로 들어가자
- 용이한 실습을 위해 Bridged network를 en0로 잡아서 노드끼리 통신이 쉽게 되도록 하자.
- 우분투 24.04 LTS로 k3s-master, k3s-worker1, k3s-worker2로 VM를 띄워보자
- 톱니바퀴 모양을 누르면 VM의 이름, CPU, RAM, DISK를 설정해서 Launch 할 수 있다.
- 잠시 기다리면 인스턴스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, 멀티패스 gui에서 간단히 shell도 볼 수 있다.
(추가) 윈도우즈에서 네트워크가 잡히지 않는 문제
- 네트워크가 잡혀도 설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, 확인해보니 네트워크 이름이 한글이라서 문제가 발생했다.
- 맥북에서 할때는 네트워크 이름이 en0, en1 이런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몰랐는데 한글 윈도우즈에서는 문제가 발생했다.
- 처음에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파워쉘로 실행했더니 깨진 이름의 네트워크 이름이 나왔다.
# 네트워크 확인하는 명령어
multipass networks
# 출력 결과
Name Type Description
�̴��� ethernet Realtek PCIe GbE Family Controller
- 해결 방법으로는 윈도우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네트워크 이름을 변경해서 문제를 해결했다.
# 네트워크 확인 명령어
Get-NetAdapter
# "이더넷"과 같은 이름으로 되어있는 네트워크 이름을 영어로 변경
Rename-NetAdapter -Name "이더넷" -NewName "Ethernet0"
- 변경이 잘 되었다면 Settings에서 변경된 이름으로 브릿지 네트워크가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3. 다음 게시물 내용
- 다음 게시물을 통해 k3s를 설치하고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까지 세팅하는 실습을 진행해보자
'데이터 시스템 구축 정보 공유 > Data Pipeline (On-premis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 k3s 설치하기 (0) | 2025.09.22 |
---|